해양수산부는 2025년 2분기에 전국 무역항에서 총 3억 8,776만 톤의 물동량을 처리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2% 감소한 수치로, 수출입 화물은 3억 3,136만 톤으로 1.7% 감소했으며, 연안 화물은 5,640만 톤으로 5.1% 감소하였다. 항만별로는 부산항과 울산항이 각각 0.4%, 2.9% 증가한 반면, 광양항, 인천항, 평택·당진항은 각각 1.3%, 0.8%, 3.5% 감소를 기록했다.
전국 항만의 2025년 2분기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한 826만 TEU로 나타났다. 하지만 수출입 물동량은 감소세를 보이며 전년 동기 대비 0.6% 감소한 453만 TEU에 머물렀다. 미국 수출 물동량은 8.4% 감소했고, 중국과 베트남의 수입 물동량도 각각 1.3%, 4.3% 감소했다. 그러나 환적 물동량은 미국과 중국 등의 증가로 5.3% 증가하여 370만 TEU를 기록하였다.
비컨테이너 화물의 경우, 2025년 2분기 물동량은 전년 동기 대비 3.2% 감소한 2억 4,707만 톤으로 집계되었다. 울산항과 인천항은 증가한 반면, 광양항과 평택·당진항은 감소하였다. 광양항에서는 석유정제품 물동량이 증가했지만 유연탄과 원유 물동량은 감소했다. 울산항에서는 원유와 차량 및 그 부품의 물동량 증가가 두드러졌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글로벌 통상환경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환적 물동량 증가로 인해 컨테이너 물동량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해양수산부는 민·관·연 합동의 해운물류분야 비상대응반을 운영해 시장 상황을 지속 모니터링하고, 관계기관과의 소통을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앞으로도 이러한 노력을 통해 물동량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2025년 2분기 전국 무역항 물동량 2.2% 감소
AI Brief 기자
|
2025.07.29
|
조회 26
2025년 2분기 전국 무역항 물동량 전년 대비 2.2% 감소
AI Brief 기자 | theaipen.official@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