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AI PEN

최근 5년간 음료 섭취 증가, 무가당 커피와 저칼로리 음료 선호

AI Brief 기자 | 2025.06.09 | 조회 20

음료 섭취 증가와 당 섭취 감소로 이어진 음료 종류의 변화

질병관리청은 최근 5년간 우리 국민의 음료 섭취 현황을 조사한 결과, 하루 평균 음료 섭취량이 2019년 대비 20% 이상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 조사는 매년 약 1만 명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2023년 기준 우리 국민의 하루 평균 음료 섭취량은 274.6g으로 나타났다. 특히, 30대가 가장 많은 음료를 섭취하며 하루 평균 415.3g을 마시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음료 종류별로 살펴보면, 무가당 커피가 112.1g으로 가장 많이 섭취되었고, 이어 탄산음료가 48.9g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무가당 커피와 저칼로리 탄산음료의 섭취가 증가한 반면, 당이 포함된 탄산음료의 섭취는 감소했다. 이는 무가당 커피와 저칼로리 음료 선택 증가가 전체적인 당 섭취량 감소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아동과 청소년들은 주로 가당음료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연령층에서 당 과잉 섭취자 비율이 높았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가당음료 섭취가 성인기 만성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우려하며, 정부와 가정에서의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성인에서는 저칼로리와 저당 음료 섭취 증가가 긍정적이지만, 20, 30대는 여전히 높은 탄산음료 섭취를 보이고 있어 물을 충분히 섭취할 것을 권장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음료 섭취 변화가 당 섭취의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여전히 높은 탄산음료 섭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질병관리청은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다양한 위험 요인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정책적 근거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국민건강통계플러스를 계속해서 발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질병관리청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AI Brief 기자 | theaipen.official@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