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5일부터 17일까지 실시된 전국지표조사(NBS) 제164차 조사 결과,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 평가는 59%로 부정 평가 31%를 앞섰다. 국정 신뢰도 역시 59%로 나타나며 취임 100일 평가에서도 ‘예상보다 잘했다’는 응답이 63%를 기록했다. 그러나 검찰청 폐지와 9.7 부동산 대책에 대해서는 찬반이 다소 갈리며 여론의 분열이 확인되었다. 이번 조사는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이번 조사는 엠브레인퍼블릭, 케이스탯리서치, 코리아리서치, 한국리서치 등 4개 기관이 공동으로 수행한 정기 여론조사다. NBS는 여론조사 신뢰성 제고와 사회 현안에 대한 객관적 여론 파악을 목적으로 시작된 조사로, 정치권과 언론이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자리 잡았다. 이번 164차 조사는 대통령 취임 100일을 전후한 시점에서 진행된 만큼, 초기 국정운영에 대한 국민 평가와 향후 국정 과제에 대한 시각을 집중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국정운영 평가에서 긍정 평가는 59%, 부정 평가는 31%로 나타났다. 특히 40~50대 연령층에서 긍정 평가는 각각 74%, 72%로 높았으며, 18~29세와 70대 이상에서는 긍정과 부정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정치 성향별로는 진보층의 93%, 중도층의 60%가 긍정적 평가를 내린 반면, 보수층에서는 부정 평가가 64%로 높았다. 이는 국정운영이 이념 성향에 따라 극명하게 갈리고 있음을 보여준다.
국정운영 신뢰도 역시 긍정 응답이 59%, 부정 응답이 34%로 집계됐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7%가 신뢰한다고 답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의 82%는 신뢰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이념별로도 진보층은 94%가 신뢰한다고 답했으나, 보수층은 70%가 신뢰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결과는 정당 지지 성향이 국정 신뢰도 평가와 직결됨을 보여준다.
정당 지지도는 민주당 41%, 국민의힘 22%로 큰 격차를 보였다. 무당층 비율은 29%로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연령별로는 40~50대에서 민주당 지지가 뚜렷하게 높았고, 18~29세와 30대에서는 무당층이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라에서 민주당 지지가 75%로 압도적이었고, 대구·경북에서는 국민의힘 지지가 33%로 높았다.
22대 국회에 대한 평가는 더불어민주당이 집권 여당의 역할을 잘한다는 응답이 53%였으나, 국민의힘이 제1야당의 역할을 잘한다는 응답은 22%에 불과했다. 이는 여당에 대한 긍정적 기대와 야당의 견제 역할 부족에 대한 비판이 동시에 존재함을 의미한다. 실제로 민주당 지지층과 진보 성향층에서는 긍정 평가가 압도적이었으나, 보수 성향층에서는 야당 역할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다수를 차지했다.
취임 100일 국정평가에서는 ‘예상보다 잘했다’는 응답이 63%로 ‘예상보다 못했다’는 31%를 크게 앞질렀다. 특히 40대(78%)와 50대(72%)에서 긍정 평가가 높았다. 민주당 지지층은 97%가 긍정 평가를 내린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은 77%가 부정 평가를 내렸다. 이념 성향별로도 진보층의 93%가 긍정 평가를 내렸으나 보수층은 66%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주요 현안에 대한 평가를 보면, 미국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발생한 한국인 체포 사건에 대해 정부가 잘 대처했다는 응답이 51%로 나타났으나, 잘못 대처했다는 응답도 35%에 달했다. 이는 외교·노동 문제 대응에 있어 국민 평가가 엇갈리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민주당 지지층과 진보 성향층에서는 긍정 평가가 압도적이었으나, 보수층에서는 부정 평가가 62%로 높았다.
검찰청 폐지 여부는 사회적 논란이 크다. 조사 결과 찬성 46%, 반대 39%로 나타나 다소의 대립이 확인되었다. 30~50대 연령층에서는 찬성이 우세했으나, 18~29세와 70세 이상에서는 반대가 높았다. 정치 성향별로는 민주당 지지층의 82%가 찬성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의 86%가 반대했다. 이는 검찰청 폐지 이슈가 정치적 입장 차이에 따라 강하게 갈린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더 센 특검안’에 대해서는 56%가 ‘잘된 일’이라고 평가했고, 30%가 ‘잘못된 일’이라고 응답했다. 연령별로는 70세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긍정 평가가 우세했다. 이념별로는 진보층 89%, 중도층 57%가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나, 보수층은 61%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부동산 정책에 대해서는 9.7 대책의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응답과 없을 것이라는 응답이 각각 43%로 팽팽히 맞섰다. 특히 무주택자와 1주택 보유층보다 2주택 이상 보유층에서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지역별로도 서울,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에서 비관적 전망이 높았다. 반면 LH가 공공택지를 직접 시행하는 방안에는 53%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하며 긍정적 전망이 우세했다. 이는 주택 공급 문제에 있어 공공의 직접 개입에 대한 기대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이번 조사 결과는 이재명 정부 출범 100일을 맞아 국민이 국정 전반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검찰청 폐지, 특검 확대, 부동산 대책 등 구체적 정책 현안에서는 찬반이 뚜렷이 갈리며 정치적 분열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여론은 국회 입법 과정에서 여야 간 격돌을 예고하며, 특히 검찰청 폐지와 관련한 정부조직법 개정, 특검법 운영, 부동산 세제 및 공급 정책 등이 향후 입법과정에서 주요 쟁점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크다. 국민 여론의 향배에 따라 국정운영 동력이 강화될 수도, 반대로 제약될 수도 있는 만큼, 여야 모두 여론을 세밀히 주시하면서 전략을 조율할 필요가 있다.
이재명 정부 100일, 국정운영 긍정평가 59%…검찰청 폐지·부동산 대책 의견 엇갈려
박혜신 기자
|
2025.09.18
|
조회 110
전국지표조사 164차 결과, 국정 신뢰도 59%·정당지지도 민주당 41%·국민의힘 22%

출처: NBS
박혜신 기자 | aipen.hyesin@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