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AI PEN

이재명 대통령 직무 긍정률 59%…조국 사면은 찬반 팽팽

박혜신 기자 | 2025.08.15 | 조회 24

광복절 앞두고 대통령 직무평가·정당 지지도·정책 현안 여론 분화

한국갤럽이 8월 12~14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데일리 오피니언 제630호 조사에서 이재명 대통령 직무 수행 긍정 평가는 59%, 부정 평가는 30%로 집계됐다. 조사 시점은 광복절을 앞둔 시기이며, 특별사면, 국민의힘 전당대회, 일본 호감도 등 다수 현안이 병존하는 정치적 국면이었다. 긍정 평가는 7월 중순 이후 다소 하락했으며, 지역·연령·지지정당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사면에 대해서는 찬성 43%, 반대 48%로 여론이 팽팽하게 갈렸다.

이번 조사는 이재명 대통령 취임 후 두 번째 광복절을 앞두고 진행됐다. 직무 긍정률 59%는 취임 초기인 6월 말의 64%에서 5%포인트 하락한 수치로, 여름 휴가철 정치이슈와 주요 국정 현안이 겹친 영향으로 풀이된다. 긍정 평가 이유는 ‘경제·민생’(15%), ‘특별사면’(22%), ‘전반적으로 잘한다’(9%), ‘외교’(5%) 등이었으며, 부정 평가 이유는 ‘과도한 복지·민생지원금’(11%), ‘도덕성 문제·자격 미달’(7%), ‘경제·민생 부진’(7%)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라에서 긍정률이 86%로 가장 높았고, 대구·경북에서는 긍정 44%, 부정 40%로 엇갈렸다. 연령별로는 40대(77%)와 50대(71%)에서 높은 지지를 받았으며, 70대 이상은 긍정과 부정이 각각 40%로 균형을 이뤘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서 긍정률이 95%에 달했고,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20%에 불과했다.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 41%, 국민의힘 22%, 조국혁신당 3%였으며, 무당층은 28%를 차지했다. 민주당은 40대(53%), 50대(58%)에서, 국민의힘은 70대 이상(41%)에서 상대적으로 강세였다. 무당층 비율은 18~29세에서 40%로 두드러졌다.

국민의힘 대표 경선과 관련해, 전체 응답자 중 김문수 21%, 안철수 18%, 장동혁 9%, 조경태 22%로 분산됐으며, 30%는 의견을 유보했다.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김문수(46%)가 1위를 기록했으나, 무당층에서는 각 후보 지지율이 8~19%로 고르게 분포해 향후 전당대회 결과가 불확실한 상황이다.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의 사면에 대해서는 찬성 43%, 반대 48%로 집계됐다. 민주당 지지층은 76%가 찬성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은 87%가 반대했다. 연령별로는 40대와 50대에서 찬성이 각각 58%, 59%로 다수였으나, 30대와 70대 이상에서는 반대가 우세했다.

일본과 일본인에 대한 호감도 조사에서는 ‘일본에 호감 간다’는 응답이 38%, ‘호감 가지 않는다’가 45%였다. 그러나 ‘일본인에 대한 호감’은 56%로, 국가와 국민에 대한 인식 차이가 드러났다. 18~29세 청년층의 일본인 호감도는 77%로 가장 높았으며, 50대와 70대 이상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광복절을 앞두고 진행된 ‘항일 독립운동가로 생각나는 인물’ 조사에서는 안중근(47%), 유관순(45%), 김구(43%) 순으로 나타났다. 윤봉길(23%), 안창호(19%), 홍범도(8%) 등이 뒤를 이었으며, 지역과 세대별로 일부 차이가 있었다. 특히 18~29세에서는 유관순(67%)과 안중근(55%)의 응답 비율이 높았다.

이번 조사 결과는 이재명 정부가 경제·민생 정책과 사면·외교 이슈에서 일정 수준의 지지를 확보하고 있으나, 복지정책 확대와 도덕성 논란, 세대·지역 간 인식 차이로 인해 부정 평가도 상당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특히 조국 전 대표 사면, 일본 관련 인식 등 쟁점 사안은 정치적 성향과 연령에 따라 여론이 극명히 갈린다. 향후 정당 지지도 변동과 국민의힘 전당대회 결과는 9월 이후 정국 주도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와 여야는 이러한 여론 흐름을 반영해 향후 입법과 정책 우선순위를 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광복절 이후 예정된 정기국회에서 관련 법안·정책이 본격 논의될 전망이다.

박혜신 기자 | aipen.hyesin@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