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AI PEN

설문조사 응답 왜곡, 순응 편향 실증 연구로 검증되다

엄기홍 기자 | 2025.04.28 | 조회 14

문항 반전 기법을 통한 순응 편향 존재 확인 및 대응 방안 제시

설문조사 응답 왜곡, 순응 편향 실증 연구로 검증되다
이현우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설문조사 응답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순응 편향(acquiescence bias)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를 발표했다. 본 연구는 무작위 대조군 실험을 통해 순응 편향이 설문조사 응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를 통제할 수 있는 방법론적 접근을 제안하였다.

설문조사는 다양한 사회과학 연구와 정책 수립 과정에서 핵심적인 자료 수집 방법으로 활용된다. 그러나 응답자의 무심하거나 습관적인 답변은 데이터 신뢰성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이현우 교수는 이러한 문제 중 하나인 순응 편향에 주목하여, 해당 편향이 실제 응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는 리커트 척도 기반의 설문조사를 무작위로 두 집단에 배분하고, 일부 문항을 반전시켜 제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동일 문항을 제시한 경우 두 집단 간 응답 분포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문항을 반전시킨 경우 긍정 응답 비율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특히 문항 내용과 상관없이 긍정 응답 경향이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는 점은 순응 편향의 존재를 뒷받침한다.

아울러 구조방정식 모델을 적용한 추가 분석 결과, 순응 편향이 모든 개념 요인에 일률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개별 개념별로 상이한 수준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특정 주제나 항목에 따라 순응 편향의 영향력이 다를 수 있으며, 설문 설계 시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엄기홍 교수(경북대)는 이번 연구 결과가 설문조사의 질적 향상을 위한 실질적 방법론을 제시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문항 반전 기법이나 무작위 배분 전략이 응답의 정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기존 연구들이 순응 편향의 존재 가능성을 이론적으로만 제시한 데 비해, 본 연구는 실증 데이터를 통해 편향 발생 메커니즘을 명확히 규명한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이 연구는 향후 설문조사 설계 및 응답 데이터 해석 과정에서 순응 편향 통제를 위한 구체적 지침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학계뿐만 아니라 정책 수립 기관에서도 이러한 방법론을 적용해 설문조사 신뢰도를 제고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순응 편향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응답 편향을 동시에 고려하는 복합적 설계 방안이 모색될 것으로 보인다.

논문: https://doi.org/10.21487/jrm.2025.3.10.1.191
유튜브: https://youtu.be/QfsphbuYPYg

엄기홍 기자 | theaipen.official@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