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는 국토교통부가 추진한 ‘2025년 도심항공교통(UAM) 지역시범사업 준비지원’ 공모에서 경상북도와 공동으로 신청해 최종 선정됐다. 이번 선정으로 대구시는 10억 원의 국비를 포함한 총 22억 원 규모의 사업비를 확보하게 되었으며, 2025년 10월부터 2026년 말까지 사업계획·기본계획·기본설계를 순차적으로 완료한 후 국토부에 시범운영 구역 지정을 신청할 계획이다.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은 전기 수직이착륙기를 활용한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도심 및 광역권 내 이동 혁신을 목표로 한다. 국토교통부는 교통형, 관광형, 공공형으로 나누어 지자체의 사업 모델을 평가했으며, 대구시는 공공서비스 연계형 광역 시범모델을 내세워 선정됐다. 이는 교통 혼잡 해소뿐 아니라 재난 대응, 치안 강화, 응급 서비스 등 다층적 공공수요를 충족시키는 방안으로 평가받았다.
대구·경북 컨소시엄은 사업 기간 동안 사업계획(2025년 12월까지), 기본계획(2026년 6월까지), 기본설계(2026년 12월까지)를 차례로 마련할 예정이다. 이후 국토부의 시범운영 구역 지정 절차를 거쳐 본격 운항에 나서며, 사업은 4년간의 시범운영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이번 사업에는 대구시와 경상북도가 공동으로 10억 원을 부담하고, 한국도로공사도 2억 원을 분담해 총 22억 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된다.
구체적으로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한국도로공사 왜관IC, 김천구미역 등 세 곳에 버티포트가 조성된다. 전체 노선은 약 96km로 설정되며, 각 버티포트 반경 50km의 공역이 포함된다. 해당 노선은 달성군과 도심을 연결해 경북지역까지 연계하는 구조로, 고속도로 기반의 회랑(corridor)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산불 감시, 재난 시 생필품 전달, 교통사고 모니터링, 도주 차량 공중 추적, 경찰 치안 활동 등 다양한 공공형 서비스가 제공된다. 특히 응급사고 초기 대응과 같은 ‘골든타임’ 확보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시는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광역 간 이동 혁신을 넘어, 첨단 재난안전체계를 구축한다는 구상을 제시했다. 재난·응급·치안 서비스를 포괄하는 국민 체감형 사업 모델은 초기 수용성 확보에 유리하다. 또한, 국토부의 규제 특례를 적용받을 수 있어 운용사업자 자격, UAM 비행회랑, 버티포트 기준 등이 완화된다. 이는 국내 UAM 상용화 기반을 앞당기고, 시민 신뢰성을 검증할 기회로 작용할 전망이다.
아울러 대구시는 이번 사업을 계기로 지역 자동차 부품 기업의 항공 모빌리티 분야 진출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기존 내연기관 부품 중심의 산업 구조가 전동화·항공화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지역 기업들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전망이다. 이는 단순한 교통 정책을 넘어 지역 산업정책과 연계된 의미를 갖는다.
이번 UAM 지역시범사업 선정은 대구가 미래항공산업의 거점으로 도약할 기회를 의미한다. 향후 2026년까지 기본계획과 설계를 완료하고 시범운영 구역으로 지정되면, 4년간의 운용을 통해 안정성과 실현 가능성이 검증될 예정이다. 다만 안전성 검증, 주민 수용성, 기술 상용화 과제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적지 않다. 국토부와 지자체, 민간기업 간 협력체계가 원활히 작동할 경우, 대구시는 UAM 상용화의 선도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대구시, ‘2025년 도심항공교통(UAM) 지역시범사업’ 최종 선정
육태훈 기자
|
2025.08.26
|
조회 15
광역 교통망과 공공서비스 연계한 실증모델 구축… 총 22억 원 규모 사업 추진

출처: 대구광역시청
육태훈 기자 | thhj0153@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