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AI PEN

광주시, 생성형 AI 행정 전면 도입… ‘AI 정부’로 디지털 전환 가속

육태훈 기자 | 2025.07.07 | 조회 11

디지털 신기술 이용료 지원·AI 대변인 도입… 공직사회 창의성과 효율성 동시 제고

출처: 광주광역시청

출처: 광주광역시청

광주광역시가 2025년 상반기부터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행정 혁신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시는 ‘AI 중심도시’ 전략을 넘어서 ‘AI 기반 정부’ 전환을 선언하며, GPT 및 다양한 AI 도구를 활용한 실무 실험을 확대하고 있다. 주요 정책은 ‘디지털 신기술 이용료 지원사업’과 GPTs 기반의 ‘AI 대변인’ 개발 도입이며, 공직자 1000명 이상이 이미 실사용에 나서고 있다. 시는 이를 계기로 전 부서의 AI 활용 체계를 확산하고, 디지털 업무환경의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공공부문의 디지털 전환은 중앙정부 차원의 법제화와 병행해 각 지자체별 정책 실험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영역이다. 광주광역시는 2025년 상반기 동안 시청 산하 53개 부서, 165명을 대상으로 생성형 AI 도구 활용을 지원하는 ‘디지털 신기술 이용료 지원사업’을 시행하며, 지자체 최초로 조직 단위에서의 AI 도입을 제도화하는 전기를 마련했다. 해당 사업은 단순한 비용 지원을 넘어, 다양한 생성형 AI 도구의 업무 적용 가능성을 현업 공무원들이 직접 실험해 보는 ‘공공 부문 내 실증 테스트베드’ 성격을 지닌다.

AI 도구 활용의 대표 사례는 OpenAI의 ChatGPT다. 지원 대상자 중 약 95%가 사용하며, 보고서 초안 작성, 정책 기획, 사례 분석, 데이터 정리 등 다목적 업무에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통계 분석(122건)과 기획서 작성(55건) 분야에서의 활용이 두드러졌다. 이 밖에도 퍼플렉시티(Perplexity)는 사실 검증 기반의 정보 조사에, 미드저니(Midjourney)는 시각 디자인 시안 생성에, 감마(Gamma)는 프레젠테이션 구조 설계에 활용되는 등 도구별 특성을 기반으로 한 분업적 활용 모델이 등장하고 있다. 냅킨AI를 통해 생성된 도식 자료 또한 문서 시각화를 통해 보고서 품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한편 광주시는 GPTs 기반 ‘AI 대변인’이라는 자체 서비스를 개발해 업무에 직접 도입했다. GPTs는 특정 목적에 최적화된 커스텀 챗봇으로, 광주시 버전은 보도자료 초안, 정책 설명문 작성, 문서 요약 등의 실무를 지원하며 공공 홍보의 일관성과 전문성 확보에 기여하고 있다. 2025년 7월 1일 기준 1000명 이상이 사용 중이며, 사용자 평점은 5점 만점에 4.7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술 도입에 따른 실질적 만족도가 높은 초기 사례로 평가된다.

이러한 정책은 조직문화 변화와 연계될 필요가 있다. 생성형 AI 활용이 공직자의 창의성과 직무책임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평가하지만, 동시에 기술 의존으로 인한 판단력 저하와 책임회피 구조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특히 법제도적으로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저작권, 공공기록물로의 분류 문제, 정보보호 책임 등이 명확히 규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대량 사용은 향후 분쟁 소지를 낳을 가능성도 있다.

한편 광주시는 하반기부터 디지털 신기술 이용료 지원 대상 인원을 확대하고, 생성형 AI 활용범위를 전 부서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병철 기획조정실장은 “AI는 행정 생산성과 창의성을 동시에 제고할 수 있는 핵심 수단”이라며 “디지털 기술 활용이 일상화될 경우 시민 서비스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광주광역시의 생성형 AI 행정 도입은 단순한 디지털 기술 수용을 넘어, 공공부문 업무방식의 구조적 전환을 시도하는 정책 실험으로 평가된다. 특히 ‘AI 대변인’과 같은 자체 시스템 개발은 단기적 효율성과 장기적 체계화를 동시에 노리는 전략이다. 다만 이와 같은 사례가 공공성·투명성·기록성 등의 행정 원칙과 어떻게 조화를 이룰 것인지는 향후 제도적 논의가 필요하다. 중앙정부는 향후 지방자치단체 사례를 참고해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법제도 정비에 나설 것으로 보이며, 광주시 사례는 그 선례로써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육태훈 기자 | thhj0153@gmail.com